1. 작성 목적
본 글은 <토가이누의 피> 북미판 정식 번역 중 용어 번역의 문제를 중심으로, 당시 한국어 패치 작업을 하면서 느꼈던 점과 비슷한 사례들을 참고하여 원인을 정리해 본 기록입니다.
번역자 개인의 비난이 아닌, 번역 환경의 한계를 이해하고자 작성된 글임을 밝힙니다.
2. 용어
2-1. Nikkouren(일흥련) — 부적절한 음차
-원문: 日興連 (日本復興連合)
-한국어: 일흥련(일본부흥연합)
-북미판 번역: Nikkouren
문제점
이 음차는 의도되었다기보단 오역으로 짐작하고 있다. 왜냐하면 일본은 ‘Japan’으로 제대로 번역된 반면, 일흥련은 음차인 'Nikkouren'(닛코렌)으로 처리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음차로 인해 단체의 실체나 성격을 유추하기 어렵게 되었다.
-대안: Japan Revival Union (JRU)
“JRU (Japan Revival Union)”처럼 약칭 + 풀네임 병기 형태였다면 전달력이 더 좋았을 것으로 보인다.
원인 추정 - 자료 부족
본문에 일흥련이라는 약칭만 있었고, 해당 단체의 정식 명칭이 없었다.
나 역시 외부 위키를 통해서야 해당 용어가 일본부흥연합의 약칭임을 알 수 있었다.
스팀판 번역도 닛코렌인데? - 그에 대한 해답
해당 용어는 '닛코렌'이라 번역됐는데, 내가 번역에 투입되기 전에 이미 정리된 용어였다.
상술했듯 배포 후에 조사해보니 ''‘일본부흥연합’의 약칭''이라는 걸 알게 되었지만, 아래의 이유로 유지했다.
- “니혼(일본)”이라는 표기는 ''토가이누 세계관의 이질적 연출을 의식하여 선택''된 것이라 함.(1대 PM의 의도였다고 들음)
- “닛코렌”은 이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북미판 음차 번역을 참고''해 정한 것으로 들었음.(1대 PM의 의도였다고 들음)
- 이 사실을 들었을 시점에는 이미 패치는 배포된 뒤 한참인지라 수정하기 애매해졌다.
- 더군다나 ‘니혼’으로 설정된 이상 일흥련은 ‘니흥련’이 될텐데 이에 대한 논의도 새로 필요하게 되는 등 손 볼 데가 늘어난다.
-> 그래서 수정을 보류하였다.
의미 중심 번역 사례
고유명사라고 해도 경우에 따라 의미를 살려야 할 때도 있다.
<CHAOS;HEAD NOAH>의 c0판 번역
1) '천성신광회(天成神光会)'라는 작중 종교단체를 'Tensei shinkokai'로 음차하지 않고 한자의 뜻을 살려 번역했다.
2) 특정인의 닉네임도 음차하지 않고 글자 깨짐이라는 설정을 반영해 표현하였다.
<역전검사 미츠루기 셀렉션> 번역
작중 일본어 언어유희를 한국어 언어 체계에 맞게 번안하였다.(예: '도두기' 등)
음차이지만 오역인지 애매한 케이스
카우를 두고 군지와 키리오는 각각 Tama(타마), Pochi(포치)라고 칭하는 장면이 있다. 이 호칭들은 나비(고양이), 바둑이(강아지)에 해당하는 표현이지만, 원문 그대로 남기는 것도 선호하는 독자가 많아 오역이라 단정하기 애매하기도 하다.
2-2. The antivirus — 번역어의 한계
-원문: 非Nicole (읽을 땐 ナル-ニコル)
-한국어: 널 니콜 (흔히 '나르니콜'로 알려짐.)
-북미판 번역: The antivirus
해당 단어의 설정
-Nicole Premier의 중화제 역할
-제거가 아닌 진정・균형 조절 기능
문제점① - 용어 일관성 부족
Project Nicole(프로젝트 니콜), Nicole Premier(니콜 프르미에(1)) 등 작중에서는 '니콜'이라는 단어가 공통적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해당 용어만 The antivirus(안티바이러스)로 번역되었는데, 이는 용어의 통일감을 해치는 결과가 발생했다. 이는 의미 전달이 저해되었다는 비판을 받기 쉽다.
안티 니콜이라고 번역했으면 일관성은 지켰을 수 있었을텐데, 아쉬운 부분이다.
문제점② - 설정 반영 부족
‘Anti-’는 ''반대・파괴적 느낌''이 강해, 설정상 중화・조정에 가까운 뉘앙스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
非는 없다(無)처럼 '공격성이 없는 중립적인 부정'을 의미하기도 한다. (예: 비폭력, 비실재 등)
제안: ''Null-Nicole''
-일본어 음성 대사: ナル-ニコル
-의미: ''없음(null) + Nicole → 무효화 개념에 더 가깝다''
NULL 니콜 비화(스팀판 한국어 패치)
이 명칭은 내가 제안한 번역어로, 기존에는 '나르니콜'로 돼있었다.
처음엔 “NULL 아니야?” 싶었지만, 일본에선 보통 'null'을 ''ヌル(누루)''로 발음하기 때문에 망설였다.
하지만 세계관 연출을 위해 의도적으로 'ナル' 같은 비보편적 발음을 선택했을 수도 있다.(예: 동방 프로젝트, 건담 시리즈 등)
그리고 일본 개발자 사이에서도 'ナル'이라는 발음이 사용됨을 확인하였다.
북미판 번역은 아예 다른 단어라서 더 혼란스러웠지만, 최종적으로 ‘非’는 ‘무효화’를 의도한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 이렇게 널 니콜로 제안하였다.
3. 자료 부족의 문제
번역 업계에서는 원청이 자료를 거의 주지 않는 경우도 분명 있다는 증언이 많다.
<토가이누의 피>처럼 고유 세계관을 채택한 경우에는 자료 부족이 작품 번역에 치명적으로 작용한다고 본다. 왜냐하면 원작자가 의도한 내용을 잘못 전달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3-1. 참고자료:
관련 사례 ①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indiegame&no=79453
공식 번역과 유저 번역의 환경 차이를 설명해주고 있으며, 실무에서는 '작품 이해 없이 번역을 맡는 환경'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작성자는 '미리칸'님으로 단간론파, 언더테일 등 많은 작품의 한국어 패치 제작 및 번역을 주도하였으며, 현재는 업계에서 활동 중이라 함.
관련 사례 ②: <CHAOS;HEAD NOAH>북미판 비공식 번역팀
https://sonome.dareno.me/projects/chn-note-on-translation.html
비공식 번역팀인 Committee of Zero가 '공식 번역을 유저 번역판으로 전면 교체'한 이유 및 번역 업계의 현실을 설명하였다.
내용은 전반적으로 담당 번역자를 두둔하였으며 원청인 개발사를 비판하는 흐름이었다. 그리고 원청에서 시간과 예산을 적게 주었기 때문에 공식 번역 퀄리티가 좋지 않았을 것이라는 언급이 있다.
-> 공통적으로 적은 양의 페이, 자료 부족 등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면 어떤 일이 발생하는 지에 대한 글이다.
3-2. 번역자의 실력 문제?
해당 번역자의 실력 문제로만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스팀판에서 내가 맡았던 부분이 오역으로 지적된 적이 있었는데, 북미판 번역은 해당 부분을 정확하게 해석했었기 때문이다.(다른 데에서 문제가 있을 수도 있지만, 정확한 해석에 놀랐던 건 사실임.)
또한 아르비트로(알비트로 Arbitro), 일 레(Il Re), 이그라(Igra) 같은 유럽계 단어는 문제 없이 번역한 기록도 있다.
결론적으로 “맥락 이해에 필요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문제는 존재했다고 생각한다.
4. 번외 - 북미판이 잘한 케이스
정답인지 확실하진 않지만 나름 괜찮게 번역했다 싶어서 예를 들어봤습니다.
4-1. 라인 - Rein
-원문: ライン
-한국어 번역: 라인
-북미판 번역: Rein
(2025.04.11 수정) Rein은 영어가 아니라 독일어로 판단된다. 독일어 Rein은 '라인'으로 읽히며, "순수한", "깨끗한"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라인(ライン)은 복용 시 신체 능력을 일시적으로 강화시켜주는 약물이며, 그 출처는 니콜 프르미에의 혈액이다. '순수한 피'를 마시는 방식으로, 마치 '이상적인 힘'을 추구하려는 욕망이 투영된 결과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약물은 극심한 부작용과 파멸을 동반한다는 점에서, Rein이라는 이름은 '순수함'이라는 의미와 파멸이라는 결과 사이의 반어적 대비를 형성한다.
발음이나 의미, 세계관 외래어 사용의 맥락에서 보았을 때 영어보다 독일어로 이해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고 본다. 실제로 작품 내에는 프랑스어, 러시아어, 이탈리아어 등 유럽계 언어가 다수 사용되기 때문이다.
5. 기타 TMI
(1) Nicole Premier는 프랑스어에서 따온 것으로 보여, 본 글에서는 ‘니콜 프르미에’로 번역했습니다.
6. 정리하며
이 글은 <토가이누의 피> 북미판 번역 중 일부 용어 번역이 왜 설정과 어긋나게 되었는지 조사한 글이었습니다.
북미판 용어는 개인적으로는 아쉬운 번역도 있었지만, 담당자가 제한된 환경 내에서 설정을 스스로 해석하고 판단한 흔적이 보여서 대체로 긍정적으로 생각합니다.
본 글은 개인적인 분석으로, 정답이라 할 수는 없으며 다양한 해석과 의견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혹시 비슷한 사례나 다른 의견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셔도 좋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