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가이누의 피 용어 결정 사유


서론

당시에는 지금보다 정보 발달이 덜했기 때문에
외국어에 대한 잘못된 음차가 발생하기 쉬웠을 겁니다.
특히 유럽쪽 언어도 다수 차용한 <토가이누의 피>라면 그런 오역이 더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윈7판 번역을 보완하는 의도임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0. 루비문자 우선 번역

<토가이누의 피>는 일부 용어에 원문과 루비문자가 병기되어 있으며,
이 중 일부는 의미가 동떨어진 표기를 포함한다.
이의 경우는 더빙과의 일치를 위해 루비문자를 우선하여 번역하였다.

또한 유럽계 언어의 로마자 표기 위에 루비문자가 붙은 경우,
이는 읽는 법을 안내하기 위한 역할로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표기는 원문 로마자를 우선하고,
최초 등장 시에는 읽는 법을 병기했다.


1. 일흥련

‘일본부흥연합’의 약칭으로 ‘일흥연’과 ‘일흥련’이 가능하다.
하지만 21세기 이후 신설된 정당/사회단체의 약칭에서도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는 사례가 다수 확인되었다.
그리하여 기존 윈7판의 ‘일흥련’을 유지하기로 결정함.


2. 포치 -> 바둑이, 타마 -> 나비

일본에서 개와 고양이에게 흔히 붙이는 전형적인 애칭이다.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번역이지만 의미 중심 번역을 우선시하여,
각각 한국에서 대응되는 ‘바둑이’, ‘나비’로 번역하였다.


3. 도그 태그 -> 군번줄

ドッグタグ(도그 태그)는
군번줄을 의미하는 영어 'dog tag'를 외래어처럼 받아들인 일본어 표기로,
형태 또한 군번줄에 제일 가깝다.

즉, 해당 단어는 일반 명사처럼 번역하는 게 자연스럽다고 판단하였다.
(현실의 사물을 차용하면서 고유 아이템인 것처럼 활용한 케이스로 보인다.)


3.1. 현실 용례

전쟁이 주 소재인 게임 <콜 오브 듀티> 시리즈에는

영어 원문: Dog Tags / 일본어판: ドッグタグ(도그 태그) / 한국어판: 군번줄

로 번역된 사례가 있다.

실제 한국 병사들 또한 ‘군번줄’이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하며
그 중 일부는 ‘개목걸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이러한 용례를 바탕으로 ‘군번줄’로 번역하였다.


4. 부타 태그 OR 쓸모없는 태그 -> 폐군번줄

‘무효한 군번줄’이라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폐군번줄’로 번역하였다. 

부타(돼지) 태그는 본래 ‘도그(개) 태그’에서 ‘개’를 ‘돼지’로 바꾼 조어로,
더 하등한 아이템이라는 의미를 전달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4.1. 타 용어 제안과 폐기

그래서 '개목걸이'와 '돼지목걸이도' 후보군에 있었다.
(정식 명칭인 ‘인식표’ 대신 ‘dog tag’를 사용하는 이유도 외형이 개목걸이와 유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어에서 ‘돼지목걸이’는 오히려
 ‘돼지 목에 진주목걸이’라는 관용 표현을 먼저 떠올리게 하므로,
해당 뉘앙스가 전달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채용하지 않았다.


그 점을 고려하여 ‘폐군번줄’이 가장 직관적인 표현이라 결정했다.


5. Nicole Premier -> 니콜 프르미에 발음 병기

원문 Premier의 가타카나 표기인 '프루미에'는 프랑스어의 프르미에와 가장 유사함.
이는 ‘첫 번째의’, ‘최초의’를 뜻하는 남성형 형용사다.
즉 “Nicole Premier”는 ‘최초의 니콜’, ‘제1형 니콜’이라는 의미를 암시하며,
영어의 “프리미어(Premier)”와는 뉘앙스가 다름.

따라서 의미를 고려해 ‘프르미에’로 표기하였다.


6. 非니콜 -> 널 니콜

ナル는 null(널)의 일본 발음 중 하나로, 작중 원문은 비(非)니콜이다.

원문의 의미를 고려하면 '무효', '없음' 등의 의미를 가진 null을 사용한 것으로 보임.

일본에서는 ヌル(누르->눌)가 보편적으로 쓰이나,
영어 발음을 중시해 ナル(나르->날->널)를 쓰는 사례도 있다.
또한 실제로 일부 일본 개발자 사이에서도 사용된 예가 있음.

따라서 설정을 감안해 '널 니콜'로 번역함.


7. 알비트로 -> 아르비트로

작중 인물명은 로마자로 Arbitro라고 표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발음을 원어에 가깝게 '아르비트로'로 변경하였다.
(Arbitro는 심판, 판정자를 뜻하는 이탈리아어로, '아르비트로'라 읽는다.)

팬덤 내에서는 '알비트로' 표기가 널리 퍼져 있으나,
본 번역 방침은 공식 표기와 원음 중심의 원칙을 우선시하므로
해당 통용 표기는 고려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


8. 이루 레 -> 일 레

왕을 뜻하는 이탈리아어인 il re를 의도한 것으로 보임.
이에 맞춰 '일 레'로 변경함.


8.1. 보충

il = the (정관사)

re = king (왕)

→ il re = "the king"



2025-08-17: 4, 5, 6번의 원 용어 수정
(사유: 위키에 번역된 용어를 인게임 번역어로 오인함)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장문TMI주의)슬로우 대미지 한국어패치 제작 후기(+게임 리뷰 조금)

토가이누의 피 트루 블러드와 무인판 비교글

토가이누의 피 한국어 패치 비화 및 내부 데이터